10:00-11:00
개회식
개회사 · 축사 · 기조연설
개회사
김동연 경기도지사
축사
이세돌 프로바둑기사
축사
박찬종
패럴럼픽 국가대표
사이클리스트
기조연설
위르겐 슈미트후버
KAUST 생성형 AI 센터
공동센터장
기조연설
다니엘 서스킨드
런던 킹스칼리지
연구교수
11:00-12:10
개막대담전체세션
기술 발전이 만들어 낸 새로운 격차와 불평등의 해소 방안 논의
개막대담은 기조연설 발제를 토대로 심화 논의를 펼치는 토론의 장입니다.
“인간중심 대전환 속 공공정책의 역할”이라는 화두를 던지며 ‘첨단기술의 사회적 영향’에서부터
‘대전환에 따른 변화의 방향’ 그리고 ‘인간 삶의 질 향상 방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의제를 논의합니다.
축사
김동연 경기도지사
기조연사
위르겐 슈미트후버
KAUST 생성형 AI 센터
공동센터장
기조연사
다니엘 서스킨드
런던 킹스칼리지
연구교수
개막대담
크리스틴 젠웨이 창
세계은행(WORLD BANK)
디지털 기반 글로벌 디렉터
14:00-15:20
기회개별세션1
AI 기술의 발전과 사회 불평등
첫 번째 개별세션인 ‘기회’는 기술발전으로 인한 사회적불평등을 성찰하고, 포용적 기술 담론의 비전을 제시합니다.
사회격차를 줄이고, 일자리를 늘리는 ‘기회’로서의 기술발전은 대한민국 혁신생태계의 심장인 경기도가
총력을 기울이는 정책입니다. 단순히 기술발전만을 지원하는 것이 아닙니다. 첨단기술에 대한 진입장벽 완화,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AI캠퍼스 및 디지털배움터 등교육인프라를 구축, AI·디지털 활용교육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기회세션에서는 사회적 불평등을 완화하는 AI와 기술발전 방향성을 논의, 정책 대안을 제시하게 됩니다.
발표&좌장
구재회 국가이익센터
발표
알렉스 로젠블랏
데이터앤소 사이어티
연구소 연구디렉터
발표&패널
봉강호 런던 킹스칼리지 연구교수
발표&패널
오병일 디지털정의네트워크 대표
발표&패널
공경철
한국과학기술원/엔젤로보틱스
교수/의장·CTO
15:40-17:40
기후개별세션2
농업과 산업이 상생하는 기후경제모델: 농촌 RE100
‘기후’세션에서는 인구구조 및 기후 변화로 인한 농촌 소멸 위기에 대응하는 기후 정책 모델을 논의합니다.
기후경제를 선도하는 경기도의 대표 이니셔티브 「경기 RE100」을 중심으로, 농업과 산업이 함께하는 농촌 RE100 모델이
농촌 활성화와 산업 경쟁력 도약을 위한 1석 2조의 정책이 될 수 있기를 토의합니다. 또한 지속가능하며 포용적인
기후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AI 농업생태계 구축 방향, 그리고 중앙·지방정부의 역할을 탐색합니다.
좌장
김윤성 소속 · 직함
발표
마코토 타지마 소속 · 직함
발표
박해청 소속 · 직함
발표
차성수 소속 · 직함
패널
정재학 소속 · 직함
패널
남재우 소속 · 직함
패널
임재민 소속 · 직함
패널
김정대 소속 · 직함
패널
박종민 소속 · 직함
패널
성제훈 소속 · 직함
10:00-11:10
돌봄개별세션3
AI 시대 돌봄·복지의 전환: 기술을 넘어 사람으로
사람 중심의 인간다운 삶과 기술발전의 담론은 ‘돌봄’ 세션의 아젠다로 이어집니다.
인간존엄을 지키는 기술 발전 방향을 탐구하는 이번 개별세션에서는 사람 중심, 포용적인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AI 기술의 방향성을 논의합니다. 이와 관련, 경기도는 장애인, 노인 등 돌봄 취약계층을 위한 AI 돌봄서비스를
적극 도입하고, 수도·전기요금 체납 등 위기정보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돌봄 대상자를 선제적으로 발굴 중입니다.
세션에서는 경기도 정책을 평가하며 기술을 활용한 돌봄 인프라 확대 전략을 구체화합니다.
좌장
최영준 연세대학교 교수
발표&패널
메리 매든 네스퍼 조지타운 대학교 겸임교수
발표&패널
김홍수 소속 · 직함
발표&패널
김정근
강남대학교
시니어비즈니스학과 부교수
발표&패널
댄호프만 소속 · 직함
11:20-13:00
노동개별세션4
3X (AX, DX, GX) 시대의 플랫폼 경제와 일자리
디지털 대전환과 플랫폼 경제라는 산업구조 변화 속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미래 일자리 모델은
‘노동’세션에서 심층 논의됩니다. 경기도는 노동 패러다임 전환을 위해 다양한 정책실험을 펼치고 있습니다.
먼저 육아와 가족 돌봄이 가능하도록, 임금 삭감 없는 주 4.5일제를 공공·민간에서 시범적으로 추진 중입니다.
또한 노동자들의 근무시간을 1/2, 3/4으로 단축하면서 급여 감소분을 보전하는 제도인 ‘0.5잡&0.75잡’ 사업을 시행하며
유연한 노동환경 조성과 생산성 향상, 도민의 일-삶 균형이 함께 실현되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경기도가 선도해 온 4가지 정책과제는 대전환 시대, 공공정책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하나의 길잡이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좌장
허재준 한국노동연구원 원장
발표&패널
준 이마이 소피아대학교 교수
발표&패널
가이 스탠딩 런던 SOAS대학교 교수
패널
김은경
경기연구원/ 제이캠퍼스
비상임연구위원/ 기획실장
패널
김혜원 소속 · 직함
13:00-13:20
폐회식
포럼 경과보고, 폐회사
?
성함 소속 · 직함
?
성함 소속 · 직함